시 쓰기의 자의식과 근원 지향의 서정/유성호
시 쓰기의 자의식과 근원 지향의 서정/유성호
1
강영은(姜榮恩)은 자신의 '몸'속에 깃들여 있는 기억과 감각을 선연하게 재현함으로써, 사라지거나 지워져 버린 삶의 근원적 표식(標式)들을 순간적으로 탈환하고, 나아가 주체와 대상 사이의 불가피한 상호연관성을 역동적으로 탐색하는 시인이다. 하지만 이러한 커다란 스케일은, 어느 순간에 가장 작고 섬세한 감각으로 몸을 바꾸어 시인으로 하여금 삶의 비극성과 심미성 사이를 진자 운동하게끔 하는 기능을 떠 맡기도 한다. 시집 『마고의 항아리』(현대시학, 2015)는 이러한 미적 속성과 성취를 빼어나게 보여주는 범례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아닌게 아니라 강영은은 "저문다는건/빛과 어둠이 교차하는 /내 안의 수많은 얼굴과 화해하는 것"(시인의 말) 이라고 고백함으로써, 자신의 '시'와 '삶'이 소멸의 기운으로 감싸인 화해의 미학이 될 것임을 암시한 바 있다. 그렇게 그녀 시편들은 한쪽으로는 가장 아름다운 '시적인 것'을 구축해가고, 다른 한쪽으로는 오랜 '존재론적 기원'을 통해 세계와 긍극적으로 화해해가는데 바쳐지고 있다.
따라서 이번 시집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그녀 특유의 근원 지향적 사유라고 할 수 있다. 그녀는 "여전히 아날로그 방식인 슬픔"(눈물의 이면)을 통해 "이름도 없고 지도에도 없는 섬"(나와 작은개자리와 섬)을 찾아 나서는데, 그러한 '슬픔'과 '모험'이야말로 강영은 시학을 이루는 양대 축이라고 할만 하다. 그 축들이 교직되어 만나는 곳에서 시인은 깊은 기억의 수원(水源)에 가 닿는다. 그 수원에서 솟구쳐오르는 것은 어쩌면 "바람의 연금술"(박성현)이나 "본원을 향해 가는 이성적 탐미의 세계(이덕주)로 명명될 수도 있겠고, 또 해설자의 지적처럼 "귀거래의 모티프"(이재복)를 품고 있는 세계로 읽어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길지 않은 글에서는, 시인으로서의 자의식과 존재론적 기원을 상상하는 가편(佳篇)들을 중심으로 하여, 강영은 시인이 취하고 있는 근원 지향의 서정을 읽어보는 쪽을 취하기로 하자.
2
이번 시집 곳곳에서 강영은은 '시인'으로서의 자의식(自意識)을 깊이 고백하고 있다. 곧 '시'라는 궁극적 자아 탐구의 양식을 통해, 그리고 심미적 축약을 욕망할 수 밖에 없는 언어적 구성에 따라, 그녀는 자신의 시 쓰기에 대해 메타적으로 사유한다. 이 때 그녀에게 '시'는 자신의 존재를 가능하게 해주는 둘도 없는 원질(原質)일 뿐만 아니라, 언어 자체를 생각하게끔 해주는 예술 행위이기도 하다. 결국 '시인'은 언어적 자의식으로 충만한 사람이자, 궁극에는 사물 속에서 언어를 발견하는 사람이며, 언어의 도구적 기능을 넘어 언어 자체에 대한 탐색에 공을 들이는 존재자가 되는 것이다. 다음 작품은 그러한 속성을 잘 보여주는 일종의 '메타 시편'이다.
윗입술과 아랫입술 사이 작은 새 한 마리 살았네.
입술을 떨게 하고 심장까지 흔드는 새부리에선
거문고 같기도 하고 비파 같기도 한 선율이 울려나오곤 했네.
귤 잎사귀를 물면 귤꽃 피는 소리, 감 잎사귀를 물면 풋감 여무는 소리, 갈
잎을 물면 갈대 우는 소리
나무가 키우는 온갖 소리가 그 새의 부리에 들어 있었네.
누군가 그 새를 울게 했네.
저절로 우는 몰현금처럼 초라한 입술을 떨게 했네.
살며시 눈을 떠 보니
휘파람새 한 마리 내 입술에 앉아 있었네.
초록빛 다문다문 열리던
나는 그 때, 돌담을 넘고 싶은 모과나무
이 세상 끝까지 가고 싶다고
꼭 한 번 소리 내어 말하고 싶은
네 입술이 내 입술에 날아 와 앉는
봄이면
제일 먼저 휘파람새를 날려보지만
바람은 그저 가만히 또는 세게 혀의 높이를 맞출 뿐,
-「초적(草笛)」전문
입술 사이에 풀잎을 대거나 물고 불어서 소리를 내는 '초적'은, 강영은 스스로의 시 쓰기에 관한 태도를 은유하는 상관물이다. 풀피리 소리를 두고 시인은 입술 사이에 살고 있는 작은 새 한마리의 울음으로 묘사한다. 거문고나 비파의 선율 과도 같은 그 소리는, 시인의 입술과 심장을 흔드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귤꽃 피는 소리, 풋감 여무는 소리, 갈대 우는 소리 혹은 나무가 키우는 소리는 모두 입술 사이의 새 부리에서 비롯한 것이다. 그러던 중 시인은 "휘파람새 한 마리"를 자신의 입술에서 발견하게 되는데, 스스로 우는 몰현금처럼 자신의 입술을 떨게 한 그 "새"는, 그래서 "초록빛 다문다문 열리던" 시인 자신을 함의하는 것일 터이다. 그 때 시인은 " 이 세상 끝까지 가고 싶다고/ 꼭 한 번 소리 내어 말하고 싶은" 것인데, 그 원심의 극한에 시인으로서의 욕망이 들어 앉아 있고 시인은 '네 입술이 내 입술에 날아 와 앉는/봄"을 줄곧 기다린다.
그렇게 강영은 은 자연 사물에 편재해 있는 '시적인 것'을 하나하나 발견해가고, 자신의 시 쓰기를 일러 "기록된 문서를 필사하는 매미소리"(「한 여름의 수평체」) 혹은 "허물 벗을 때마다 되살아나는 말의 습성이 근본을 찾아 나선 것"(「퇴고의 형식」)이라고 고백해간다. "울음을 필사하는"(「소지(燒紙)」)시의 직능도 부가하면서 말이다.
휘종의 화가들은 詩를 즐겨 그렸다
산 속에 숨은 절을 읊기 위하여 산 아래 물 긷는 중을 그려 절을 그리지 않았고 꽃밭을 달리는 말을 그릴 때에는 말발굽에 나비를 그리고 꽃을 그리지 않았다 몸속에 절을 세우고 나비 속에 꽃을 숨긴 그들은 보이지 않는 것에 붓을 묻었다
사람이 안 보인다고 공산(公山)이겠는가
매화나무 등걸이 꽃피는 밤, 당신을 그리려다 나를 그렸다 늙은 수간(樹幹)과 마들가리는 안개비로 비백(飛白)질하고 骨 깊이 번지는 먹물 찍어 물 위에 떠가는 매화 꽃잎만 그렸다 처음 붓질 했던 마음에 짙은 암벽을 더했다
-「묵매(墨梅)」전문
수묵(水墨)을 사용하여 그린 매화 그림 역시'시'에 관한 은유적 등가물이다. 휘종 때 화가들이 그린 "詩" 자체로의 '묵매'는 산속에 숨은 절 대신 산 아래 물긷는 중을 그리거나, 꽃밭을 달리는 말 대신 말발굽에 나비를 그리는 화법(畵法)을 택한 결과이다. 그래서 강영은은 "몸속에 절을 세우고 나비 속에 꽃을 숨긴 그들"이야말로 보이지 않는 것에 붓을 묻은 진짜 시인이라고 본다. 매화나무 등걸이 꽃 피는 밤인데도 시인은 그리운 '당신' 대신 자신을 그렸다. 번져가는 먹물로 물 위에 떠가는'매화 꽃잎'만 그린 것이다. 일찍이 '홍운탁월(洪雲托月)'이라고 했거니와, 이는 구름을 그려 달이 드러나게 한다는 뜻으로 대상의 주위를 어둡게 칠해 대상을 돋보이게 하는 기법이다. 시인은 스스로의 마음을 그림으로써 대상을 역설적으로 부조(浮彫)하는 작법을 택함으로써 자신의 이러한 시적 기율을 완성해가다. 그녀 스스로도" 절실하게 그립지만 /절박하게 두려운 것은 마음의/벼랑(「해거름 전망대」)이라고 하지 않았는가, 그렇게 시인은 "새처럼 자유롭게 날아가지 못 하고"(「소리 박물관」) 있는 자신을 맞닥뜨리는"아름다운 수형을 지닌 생의 절절"(「생각하는 정원」) 을 노래해간다. "완성된 문장 보다 미완성의 한 줄을"(「카자흐의 검독수리」) 욕망하면서 말이다.
다음으로 우리가 이 번 시집에서 만나는 음역(音域)은 강영은 자신의 어떤 근원에 대한 시적 탐색이다. 그래서 그녀 시에 나타나는 목소리는 개별적 경험에 한정되지 않고, 근원적 존재 일방의 탐색이라는 성격을 띤다. 보다 더 원초적인 상상력이라고 할 수 있는 타자 지향의 감각들도 결국은 이러한 근원에 대한 믿음이 침투한 결과일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녀가 존재의 근원을 탐색하고 자기 완성을 추구해가는 모습은, 시적 대상을 향한 한없는 매혹과 그리움을 가진 채 수행된다. 그중에서도 우리는 시인 자신의 존재론적 기원(origin)으로 끊임없이 회귀하려는 강한 열망과 만나게 되는데, 그 기원이 살아 있는 상징적 거소(居所)가 바로 그녀가 나고 자란 '서귀포'다.
서귀포에서는 누구나 섬이 된다
섭섬, 문섬, 범섬, 새섬 같은 섬이 배후여서
세연교 난간에 한 컷의 생을 걸어놓은 사람은
섬으로 건너가는 일몰이 된다
서귀포에서는 누구라도 길을 묻는다
바다를 향해 흘러내리는
언덕에 서서 여기가 어디냐고
서있는 곳을 되돌아본다
당신이 서 있는 거기서부터 서귀포는
언제나 서쪽이다.
녹두죽 같이 끓는 바닷가 찻집에 앉아
노을처럼 긴 편지를 쓰면
기억만큼 고통스럽고 아름다운 것은 없다
언제쯤 당신에게 닿을 수 있을까
불붙는 해안선을 지나면
게와 아이들이 남아있는 자구리 해안
긴 문장이 따라오는 지상에서
가장 참혹하고 아름다운 편지를 쓰고 있다면
당신은 서귀포에 있는 것이다
떠도는 섬을 당신의 마음속에
붙잡아 앉힌 것이다
-「서귀포」 전문
'서귀포'는 단순한 지명을 넘어, 그리고 한 생명이 태어나 자란 고향이라는 의미를 넘어, 과연 '누구나 섬'이 되는 형이상학 적 장소로 다가온다. 아니면 그 누군가는 "섬으로 건너가는 "일몰"이 될지도 모를 일이다. 여기에는 '서귀(西歸)'가 가지는 서쪽으로 돌아간다는 뜻이 착색되어 있다. 어쨌든 이 곳 '서귀포'에서는 누구라도 길을 묻고, 서 있는 곳을 되돌아보고, 기나긴 편지를 쓸 것이다. 그렇게 언제나 서쪽인 '서귀포'는 "기억만큼 고통스럽고 아름다운 것은 없다"는 것을 거듭 각인 시키고, 시인은 그 기억의 힘으로 언젠가 '당신'에게 닿을 것을 상상한다. 하지만 서귀포는 "긴 문장이 따라오는/ 지상에서 가장 참혹하고 아름다운 편지"를 쓰게끔 하는 기다림의 공간일 뿐, 그 만남은 끝끝내 허락하지 않을 것이다. 이렇게 강영은 은 우리가 잃어버린 어떤 원형(archetype)혹은 궁극적 대상을 노래한다. "스스로 젖은 적 없는 저, 산과 바다를 무슨 비유로 노래할 것인가"(「 귀거래(歸去來)」)라면서, "죽은 돌이 산사람을" (「죽은 돌」)을 지키는 "비가 와도 젖지 않는 바다"(「제주 ,겨울비」)를 바라보면서 말이다. 그때 그곳에서는 "어느쪽으로 고개 돌려도 긴문장이 뒤 따라"(「판포 」오지 않겠는가.
이처럼 강영은 시집 「마고의 항아리」는 시 쓰기의 자의식과 근원 지향의 서정에 집중하고 있다. 물론 다른 독법(讀法)도 얼마든지 가능할 만큼 그녀 시편을 놀라운 균질성을 가지고 있다. 신화적 상상력이나 여성(모성)적 상상력으로 읽었을 때 더 풍부한 결이 만져질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우리는 그 기저(基底)에 이러한 창작적 자의식과 근원 지향의 사유가 흐로고 있음을 확인한다. 참으로 아릅답고 융융하다.
3
원천적으로 서정시는 일상에서 무심히 지나칠 법한 사물의 존재 형식을 통해 삶의 본질을 투시하고 형상화 하는 장르다. 그래서 시인들이 수행하는 관찰과 표현은 정서를 직접 드러내는 것을 지양하면서, 사물의 존재 형식과 삶의 본질을 유추적으로 결합시키는 작법(作法)을 지향하게 된다. 결국 시인들이 포착한 사물의 존재 형식은 인간의 그것으로 치환되고, 존재의 심층에 가라앉아 있는 삶의 이법에 대해 깊은 사유를 가능하게 해준다. 이처럼 사물의 존재 형식을 통햐 삶의 비의(秘義)에 가 닿는 과정은, 양도할 수 없는 서정시의 고유한 지표일 것이다. 강영은은 이러한 불가피한 방식을 통해 삶의 비의에 가 닿으려는 일관된 의지를 보여주는데, 그것은 사물 속에 편재해 있는 소멸과 신생의 원리에 대한 역설적 사유를 통해 근원적 질서를 찾아 나서는 편력으로 나타난다.
이제 강영은 시학의 소중한 결절(結節)이 될 『마고의 항아리』는, 이러한 성과와 함께, 앞으로 그녀가 나아가게 될 진경(進境)도 암시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것은 아마도 "빛이 굴절 될 때마다 점점 그윽해지는 회랑처럼"(「저녁과의 연애」)다가와서 "침묵의 참모습"(「수석유화(瘦石幽花)」)을 보여주는 삼광과도 같은 서정시편들일 것이다. 결국 "심장을 두근거리며 처음 말문을 열었던 (「풍화된 입」)순간을 통해, 그녀는 "어떤 비유"(「가을의 중력」)도 필요하지 않은 '소리'와 '감각'이 결속된 언어로 나아가지 않겠는가, 그렇게 우리는, 그녀가 보여줄 다음 시집의 세계를, 마음 깊이, 소망해 보는 것이다.
유성호 /비평가, 한국현대 문학, 한양대 국문과 교수, 자서로 『상징의 숲을 가로질러』,『움직이는 기억의 풍경들』등이 있음, 팔봉 비평문학상, 김환채 평론 문학상 등 수상
-『본질과 현상』 2015년 겨울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