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영은시인4 샨티Shantih* 샨티Shantih*/강영은 주여, 이 문장에 평화를 주소서 바구니를 든 손은 가난하고 얼굴은 시들었으나 풍성한 열매를 따고 가는 가을의 얼굴처럼 기쁨에 들뜬 언어를 주소서 고단한 햇빛과 바람의 가시를 몸에 들였으나 폭풍우를 견뎌낸 심장은 튼튼하니 한 톨 한 톨 밤을 떨구는 우주를 받들게 하소서 매 순간, 헤어지는 땅의 시간을 감당했으니 홀로 서 있는 밤나무의 슬픔을 이해하게 하시고 먹을 것을 얻은 다람쥐처럼 그 밤의 깊이에 다다르게 하소서 빈 들녘에 울려 퍼지는 갈가마귀 소리가 노래의 도구(渡口)임을, 필생(筆生)의 울음이 필생의 노래임을, 루비콘 강을 건너는 입술에도 노래가 필요하다는 것을 그리하여, 물결을 저어가는 구음(口吟)이 내 과업임을 알게 하소서 나의 노동이 하늘과 맞닿은 지평선을 지날.. 2019. 4. 7. 오후 네 시를 지나는 두 개의 바늘 - 기억의 고집<살바도르 달리 오후 네 시를 지나는 두 개의 바늘 강영은 화단과 멀어진 다음, 그 다음에도 걷겠습니다. 활짝 핀 웃음을 기다리는 당신을 향해 걷다가 멈추겠습니다. 걷다가 멈추는 일이 습관이라면, 바람도 바람에 날리는 향기도 없었던 일로 하겠습니다. 당신마저 .. 2018. 10. 5. 그물과 종달새 그물과 종달새/강영은그물에 걸린 종달새를 본 적 있니? 나는, 그 종달새와 그물 앞에 허공을 놓아 주겠다바람과 햇살이 들락거리며 동아줄이 지닌 감옥을 비워내리라 내 입술은 그물을 찢은 칼처럼 흐느끼리라 종달새에게는 종달새의 자유를, 나에게는 종달새의 하늘을 달라 종달새가 모든 노래를 풀어 놓으리라종달새가 모든 노래를 풀어 놓으리라 『시인동네』 2016년 봄호, 2017. 1. 10. 양의 귀환 양의 귀환/강영은 대관령에 갔었네 천국의 어린양 같은 얼굴을 하고 하늘 아래 첫 동네, 대관령에 갔었네 양떼목장의 건초 더미는 알맞게 마르고 향긋한 냄새를 풍겼네하느님이 벗어놓은 초록 모자는 산등성이에서 빛나고양떼구름은뒹굴기에 더 없이 부드러운 풀밭으로 아흔 아홉 마리 양을 몰고 오네발왕산 능선 위 울음 걸쳐 놓은 한 마리 양은 어디로 갔나이 평화로움에 온전히 물든 나에게 묻네길 잃은 양 한 마리(내 안의 양 한 마리)어디로 갔니?2016년 평창시(시와 소금) 2017. 1.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