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말의 서정과 감각의 촉수
손말의 서정과 감각의 촉수 /강영은 - 양시연 시집『따라비 물봉선』해설 오늘날, 언어만을 인간의 의사소통 도구로 특정한 데에는 언어의 보편적 특성이 작용한다. 임의성, 분절성, 창조성, 역사성, 전위성, 문화적 전달 등이 그것인데, 언어가 가지는 이러한 특성은 시인들에게 있어 시 쓰기의 중요한 기점이 되며 우리가 사는 사회에서도 중요한 소통체계가 된다. 인간이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이 신호체계를 사용할 수 없는 이들이 있다. 언어는 더 이상 유용한 것이 아니게 된다. 그때 우리는 신체의 동작, 외양, 접촉행위, 유사언어, 등을 수단으로 뜻을 전달하고 표현하게 된다. 즉 신체 언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하나의 예로 손말(手話)을 들 수 있다. 이번에 첫 시집을 내는..
2024. 11. 15.